사용자의 스캐닝 동작 없이 빠르게 구내 3D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
3D 구강스캐너(기존의 9개사 제품)의 문제점
- 구강스캐너는 장비가 고가이며 떨어트릴 위험이 많아 수리비가 많이 들어간다.
- 스캐너 촬영부위의 팁이 커서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크고 초보자의 경우 촬영이 힘들다.
- 금속 보철물 같이 광택이 나는 표면은 난반사로 정확한 스캔이 잘 안되고 있다.
- 광학스캔(FOV) 영역이 좁고, 구강내 먼 거리 부위의 치아 및 영역 스캔이 어렵다
- 촬영자에 따라 촬영 시 화면에 Focusing Capture를 잡는데(촬영 Data의 부정확함, 스캐닝 기술 System문제) 시간이 다소 걸린다.
- 사용이 어렵고 장비의 학습곡선(Learning Curve)이 존재한다.
- 대구치(어금니) 촬영이 어렵고 사용자에 따라 촬영 시 악궁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3D 영상재구성시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.
- 전체 치아 촬영 시 스캔 Data의 부정확성으로 편차가 심하다.
- 틀니(무치악) 환자의 경우 스캔 정밀도가 떨어진다.
- 장시간 수동으로 치아 촬영 시 흔들림과 왜곡이 발생한다.